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컴퓨터공학
- 국비지원
- 호이스팅
- git
- CS
- github
- 야놀자
- 그리디
- 백준
- 컴퓨터과학
- Javascript
- KAKAO
- 너비우선탐색
- 코딩테스트
- 부트캠프
- BFS
- 코테
- LinkSnap
- js
- 자바스크립트
- CSS
- 알고리즘
- cpu
- DFS
- html/css/js
- nodejs
- 국비지원취업
- computerscience
- 패스트캠퍼스
- 프론트엔드개발자
- Today
- Total
목록컴퓨터과학 (6)
My Boundary As Much As I Experienced

스케줄링 CPU가 하나의 프로세스 작업이 끝나면 다음 프로세스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이때 다음 프로세스가 어느 프로세스인지를 선택하는 알고리즘을 CPU Scheduling 알고리즘이라고 한다. 비선점 한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받아 실행중이라면 다른 프로세스들이 CPU를 강제적으로 뺏을 수 없는 스케줄링 방식 FCFS (First Come First Served) : 자료구조 큐의 데이터 처리 큐에 도착한 순서대로 CPU 할당 SJF (Shortest Job First) : 우선순위 큐의 데이터 처리(최소 시간) 수행시간이 가장 짧다고 판단되는 작업을 먼저 수행(FCFS 보다 평균 대기 시간 감소, 짧은 작업에 유리) HRN (Hightest Response-ratio Next) : 우선순위 큐의 데이..

시스템 콜(System Call)이란? 사용자 프로그램이 디스크 파일을 접근하거나 화면에 결과를 출력하는 등의 작업이 필요한 경우, 즉 사용자 프로그램이 특권 명령의 수행을 필요로 하는 경우, 운영체제에게 특권 명령의 대행을 요청하는 것이 시스템 콜이다. (커널 모드의 명령을 사용자 모드에서 명령으로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SUDO 아닌가? 아님 시스템 콜의 유형 시스템 콜은 다섯 가지의 중요한 범주로 나눌 수 있다. 프로세스 제어, 파일 조작, 장치 조작, 정보 유지보수, 통신과 보호. 여기서는 각 범주들에 어떠한 기능들이 있는지만 간략하게 살펴본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면 홍릉과학출판사의 Operating System Concepts 8th Edition, 64page 부터 참고하길 바란..

인터럽트(Interrupt)란? 인터럽트란 CPU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도중에 급하게 다른 일을 처리하고자 할 때 발생한다. 지금 수행 중인 일보다 더 중요한 일(ex. 입출력, 우선 순위 연산 등)이 발생하면 그 일을 먼저 처리하고 나서 하던 일을 계속해야한다. 인터럽트의 종류 외부 인터럽트 전원 이상 인터럽트: 정전이나 전원이 이상이 있는 경우 기계 고장 인터럽트: CPU등의 기능적인 동작 오류가 발생한 경우 외부 신호 인터럽트(External interrupt) 타이머가 끝난 경우 키보드로 인터럽트 키를 누른 경우 : 대표적으로 Control + Alt + Delete 외부장치에서 인터럽트 요청이 있는 경우 입출력 인터럽트(I/O Interrupt): 입출력의 종료 등의 이유로 CPU의 수행을 요..

운영체제란? 운영체제(Operating System)는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컴퓨터 사용자와 컴퓨터 하드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동작하는 시스템입니다. 여러 응용프로그램이 유용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 줍니다. (종류로는 Windows, Linux, UNIX, MS-DOS 등이 있으며, 시스템의 역할 구분에 따라 각각 용이점이 있습니다.) 운영체제의 성능 척도 처리능력 : 운영체제는 시스템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단위로, 일정 시간 동안 처리하는 일의 양을 의미합니다. 응답시간 : 작업 의뢰 후 시스템에서 결과가 얻어질 때까지의 시간 신뢰도 : 주어진 문제를 얼마나 정확하는가에 대한 정도 사용가능도 : 시스템을 얼마나 빠르게 사용할 수 있는가에 대한 정도 운영체제의 기능 ..
컴퓨터의 구성 컴퓨터 시스템은 크게 하드웨어(Hard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드웨어는 물리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기계 장치이고 소프트웨어는 논리적으로 컴퓨터 시스템을 구성하고 하드웨어들을 관리하고 동작시킨다. 소프트웨어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컴퓨터 하드웨어의 구성 중앙 처리 장치 연산 장치 제어 장치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중앙 처리 장치는 연산 장치와 제어 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연산 장치, 제어 장치, 기억 장치, 입/출력 장치 이렇게 5개로 컴퓨터 5대 구성 요소라고 부르기도 한다. 시스템 버스는 각 요소들과 연결되어 있고 데이터와 명령 제어 신호를 각 장치로 실어 나른다. 중앙 처리..

가상 메모리 또는 가상 기억 장치는 메모리 관리 기법의 하나로, 컴퓨터 시스템에 실제로 이용 가능한 기억 자원을 이상적으로 추상화하여 사용자들에게 매우 큰 (주) 메모리로 보이게 만드는 것을 말한다. - wikipedia 쉽게 말해서, 주 메모리(RAM같은 휘발성 메모리)가 아닌 공간을, 주 메모리처럼 쓰면서 주 메모리가 매우 넓은 것처럼 사용하는 기법이다. 주 메모리가 아닌 공간이란 보조 기억 장치인 SSD, HDD같은 공간을 말한다. 보조 기억장치에 가상 주소를 주고 가상 메모리로써 사용하는 것이다. 보조 기억 장치에 가상 주소를 부여 => 가상 메모리 주 기억 장치의 실제하는 물리적 주소 => 실제 메모리 참고: 가상 주소는 MMU에 의해 실제 주소로 변환됨 TLB(Translation Lookas..